KakaoTalk_20221129_165930849.jpg

Concept design for the future agricultural R&BD center

초기 설계 컨셉 스케치

Concept design for the future agricultural R&BD center

정조 프로젝트 현상공모안

WISE(Waste-Free, Intelligent, Self-sustainable, Energy-efficient)

조선 정조시대 ‘둔전’ 개념의 미래지향적 WISE한 해석에서 출발

농지없는 백성들의 경제적 기반을 위해 정조가 제공한 ‘둔전’의 의미를 언택트(Un-tact)시대 신경제 모델로 현대시민의 활력과 신경제 플랫폼을 제공하는 미래지향적 신기술 기반으로 해석.

WISE(Waste-Free, Intelligent, Self-sustainable, Energy-efficient)에 기반한 미래농업기술과 결합된 지속가능한 미래건축의 뉴노멀(New-normal)로서 둔전을 부활시켜 미래세대와 정조 정신을 함께 계승

둔전. 둔방의 새로운 해석

개념도 초기안

노동집약적 에너지와 생산을 위해 넓은 농지가 필요한 농업을 스마트기술과 첨단 건축기술의 결합을 통해 도시농업 복합시설로 승화

첨단 농업을 기반산업으로 생산(1차), 가공(2차), 서비스(3차) 등 농업형 6차산업 모두 포함할 수 있는 미래형 연구 및 사업개발 센터의 혁신적 건축물 및 운영체계 모형 제시

자동화 된 옥상온실, 밀폐형 식물공장, 수직농장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스타트업 기업이 연구를 통해 부가가치를 부여해 상업·문화공간에서 고부가가치 상품으로서 온오프라인 홍보와 판매가 동시에 이뤄질 수 있는 언택트 벨류체인(Un-tact Value Chain) 기반실현

생산-연구-소비에 활용되는 모든 에너지는 재생에너지와 자원 순환계를 통해 공급·재생산되어 자족성을 갖추는 독립적 에너지 융합 생태계를 실현

최상층에 옥상온실과 지하층에 건물에너지원을 배치해 건물의 양 끝단에서 열과 전기, 탄소, 폐기물, 태양광, 태양열, 물 등이 출발해 수직적으로 사용목적에 따라 순환될 수 있는 에너지 업사이클링 기술 구현

실내 공간구성을 자연광의 중요도에 따라 세분화해 채광 필요시간이 긴 작물을 위한 옥상온실, 적절한 채광이 필요한 수직농장, 인공광으로 생육가능 한 작물을 위한 식물공장등을 배치해 에너지의 근원인 태양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

 

에너지, 문화, 기술이 농업으로 융화된 경제자립형 수직도시 모형을 통해 21세기형 정조 정신을 Agritecture 복합공간으로 승화

우리나라 르네상스였던 정조 시대에서부터 현재까지 농업의 과거와 현재를 상징하는 수원 농촌진흥청의 장소성을 공간적으로 계승하고 우리나라 전통건축의 주요 구조였던 목조를 현대적으로 구현해 세계적 ‘WISE Agritecture Landmark’ 건설

저층에서 고층으로 갈수록 ‘문화-기술-혁신’의 키워드가 연쇄적으로 이어지는 자연스러움 점층적 공간구성 개념 적용

저층부는 생산-소비-기술-문화가 과거 농진청의 장소기억이 녹아있는 공간으로 구성해 역사와 현재를 동시에 체험과 교육함으로서 시대적 융화가 일어나도록 ‘문화융합’ 공간으로 구성

중층부는 가까운 미래에 우리가 경험할 수 있는 최신 농산업을 사업화하고 이익실현을 추구하는 혁신 창업공간으로서 연구와 생산, 판매의 선순환 구조가 이뤄지도록 ‘기술복합’ 공간으로 구성

고층부는 최첨단 과학기술을 농업으로 승화시키는 공간으로 보다 먼 아쿠아팜, 우주농업, 극한농업과 같은 미래형 농업을 연구하고 전시를 통해 체험할 수 있도록 ‘미래혁신’ 공간으로 구성

PROJECT INFORMATION

ARCHITECT : Kyung Jae Kim, Heejoo Shi

LOCATION : Seohochun

YEARS : 2020

STATUS : Proposal

PROGRAM : R&D Center

COLLABORATORS :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and Materials, Eunseok Lee (AU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