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중립도시유형별 설계 시뮬레이션

국가 탄소중립 도시 지정 대응전략 및 지역별 조성방안 마련 연구용역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도시 설계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다. 탄소중립 도시 조성을 위한 이번 연구 용역은 충청남도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각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실질적인 공간 전략을 마련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탄소중립 도시 지정에 필요한 기본 구상안을 제시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의 설계 대안을 도출하는 과정이 주요한 목표이다.

이 연구는 탄소중립을 실현할 수 있는 도시 공간을 구체적으로 제안하는 데 의미가 있다. 각 시군의 탄소 배출량과 기후변화 취약성을 면밀히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탄소중립 도시 유형을 구분하였다. 특히,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 자립률 향상을 위한 방안, 생태축 보전 및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자원순환형 도시 조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설계를 진행하였다.

도시 공간을 새롭게 정의하는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연구를 넘어 실질적인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각 유형별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어진 결과들은 향후 탄소중립 도시 조성의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며, 지속 가능한 도시 환경 조성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당진시 탄소중립 설계 전략

산업단지와 주거단지의 균형 있는 조성을 통해 지속 가능한 도시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당진시 탄소중립 계획의 핵심이다. 기존 석문 농공단지와 새롭게 조성되는 석문 국가산업단지를 지원할 배후 주거단지를 마련하여 산업과 주거가 공존하는 공간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 산업단지와 주거단지 간 자원 순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폐기물 및 에너지를 재활용하여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친환경 시스템을 도입한다. 또한, LNG 냉열 활용, 수소 생산 및 연료전지 기술을 적용하여 산업단지와 주거지의 에너지 자립률을 높인다. 중앙공원과 그린 버퍼존을 조성해 보행 및 친환경 교통을 활성화하며, 석문산단역과 연계한 신경제 중심지를 계획하여 지역 내 물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경제 활성화를 도모한다.

보령시 탄소중립 설계 전략

보령관창 일반산업단지, 구도심, 하수종말처리장을 연계한 자원 순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지역 내 자원 활용도를 높인다. 청천저수지와 대천천의 풍부한 수자원을 활용하고, 모람식물원과 복지시설을 중심으로 소규모 에너지 순환 복합체를 조성한다.

또한, 가축 및 주거 폐기물을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과 청정수소 에너지 공급을 통해 산업단지와 주거단지의 탄소중립을 실현한다. 태양광 집적화 단지를 조성하여 친환경 전력을 산업단지와 원도심에 공급하고, 수소버스 등 친환경 교통수단을 적극 활용한다.

도시 환경 개선을 위해 노후 주택의 그린 리모델링을 추진하고, 봉황산과 대천천을 연결하는 녹지 네트워크를 조성한다. 장항선 폐철도를 활용한 기후대응 도시숲과 갯벌을 이용한 탄소흡수원 군락지를 조성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한다.

서산시 탄소중립 설계 전략

대산산업단지와 배후도시들을 연결하는 29번 국도는 물류와 통행 비용이 크게 발생하는 구간이다. 이에 산업단지와 주거지를 연계하는 수소버스를 도입해 물류비용과 탄소배출을 절감하고, 공동구를 활용한 에너지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하여 효율적인 자원 순환 체계를 마련한다.

또한, 노후 주거단지를 재개발하고 기후변화 대응이 가능한 건축물과 단지를 조성한다. 기존 도시 네트워크를 활용해 스마트 자연순환 수거함을 배치하고, 공공주택 부지에 연료전지를 보급하여 분산형 전원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통해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지속 가능한 주거 환경을 조성한다.

공공기관 인프라를 활용한 탄소 포집 시스템을 도입하고, 지역 내 탄소를 자연환경을 이용해 매립하여 탄소중립을 실현한다. 공원과 교육시설 부지에는 빗물저금통을 설치하여 폭우 등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인프라를 마련한다.

천안시 탄소중립 설계 전략

천안 제3·4 일반산업단지, 외국인산업단지, 백석농공단지 등 산업단지 복합체는 구시가지와 신 주거단지와 밀접하게 연결된다. 천안시 에너지 사업소의 가동을 통해 에너지 순환이 이루어지며, 격자형 신시가지의 동선을 활용한 폐기물 처리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효과적인 자원순환이 가능하다. 또한, 천호 저수지의 태양열 전기를 활용하고 주변 중소 주거지역의 폐기물 처리까지 담당하며 광역 네트워크 중심지로 발전한다.

산업단지 복합체와 주거단지를 연결하는 번영로를 따라 그린 코리도어를 조성하고, 봉서산에서 시작해 삼성대로를 거쳐 노태산 근린공원과 큰매산까지 이어지는 환형 그린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이 네트워크는 천안 에너지 사업소와 산업단지 내 공원과도 연결되며, 이를 통해 산업단지와 주거단지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지속가능한 도시 공간을 형성한다.

 

PROJECT INFORMATION

LOCATION : chungcheongnam-do, Korea

planning : Kyung Jae Kim in collaboration with auri

head researcher: Dr. eunseok lee

Design Team : Tae hwan Shin

CLIENT : auri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YEARS : 2023

STATUS : Service completed

PROGRAM : master planning

도시계획: 김경재, 건축공간연구원과 협업

책임연구원: 이은석

설계담당: 신태환

위치: 충청남도, 대한민국

프로그램: 마스터플랜 및 도시개발 전략 시뮬레이션

용역 완료: 2023

PROJECT gall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