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서동 대학로 공간환경 개선 설계 시뮬레이션

안서동 대학로 청년안심 탄소중립 보행환경 개선 연구용역

천안시 안서동은 1980년대 이후 5개 대학과 단국대 병원이 밀집하며 높은 청년인구 밀도를 유지하는 지역이다. 그러나 낙후된 대학가 환경과 부족한 커뮤니티 시설로 인해 대학 구성원의 활동이 학교 내로 제한되며, 보행자 교통사고와 치안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산사태, 폭우, 폭염 증가 등으로 지속가능한 성장과 안전한 환경 조성을 위한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대학가의 공간환경 개선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며, 장소성을 강화하고 보행 기반 모빌리티 체계를 정비하는 방향으로 개선 방안을 모색한다. 주요 문제로는 단절된 공간구조, 열악한 가로환경, 교통 혼잡, 지역거점 부족 등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공영역의 시인성을 높이고, 순환형 동선체계를 구축하며, 주요 가로축과 거점공간을 정비하여 지역의 활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안서-상호 지구

상암천은 생태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에도 효율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불법 주정차로 인해 보행자 안전이 위협받고 교통 흐름이 방해받는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보행자 및 PM 우선도로로 전환하고, 구간별 전용 채색과 디자인을 적용해 시인성을 높인다. 또한, 상가 1층 매장을 보행자 도로와 연계해 활성화하고, LID 기법을 활용해 침수 피해를 저감하면서도 경관성을 강화하는 상부 구조를 도입한다. 이를 통해 안전한 보행 환경을 조성하고, 생태 복원과 산책로 조성을 통해 공간 활용도를 높인다.

안서초교 앞 도로를 보행자 우선도로로 지정해 보행 환경을 개선한다. 내부 동선을 정비하고 불법 주정차를 금지해 안전성을 높이며, 기존 노상 주차구역은 파클렛으로 전환해 보행 공간을 확장한다. 또한, 차량의 속도를 줄이기 위해 지그재그형 주행 방식과 가상 과속방지턱을 도입하고, 도로 모퉁이에는 이동식 화분을 배치해 시야 확보와 곡선반경을 완화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과 보행자들이 더욱 안전하고 쾌적하게 이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상명대학교 정문 일대를 특색 있는 거리로 조성하여 지역 활성화를 도모한다. 호서대-상명대-천호지를 연결하는 보행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테마거리를 조성해 지역의 개성을 반영한다. 또한, 보행자 중심의 소통형 가로를 조성하고, 보행자 우선도로임을 알리는 노면 표시를 적용해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 환경을 만든다. 이를 통해 대학로 일대의 접근성을 높이고, 보행 중심의 활력 있는 거리로 변화시킨다.

안서-천호지구

천호지 카페거리는 보행 중심의 공간으로 재구성된다. 차량 도로는 최소 차로폭을 적용하고 일방통행으로 전환하여 교통 흐름을 개선하며, 보행자의 안전성을 높인다. 또한, 유휴부지는 보행자 공간과 공공 공간으로 활용하여 개방감을 확대하고, 카페 1층 테라스를 보행자 도로와 연계해 더욱 활기찬 거리로 조성한다. 이를 통해 보행 환경의 시인성과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스트리트파크 개념을 적용해 개성 있는 카페거리로 특화한다.

안서커뮤니티코어는 경부고속도로로 인해 단절된 ‘안서-상호 지구’와 ‘안서-백석 지구’를 연결하는 거점 공간으로 조성된다. 이를 통해 두 지역 간 접근성을 높이고, 공간적 연계를 강화한다. 또한, 청년들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여 만남과 교류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활동과 소통이 이루어지는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계획한다.

안서-백석지구

백석대 정문 앞 문암로는 도로 다이어트를 적용해 안전성을 높이고, 벚꽃 등 가로수를 식재해 수목터널을 조성한다. 도로변 유휴 공간은 파크렛으로 조성해 보행 편의성을 확대하고, 보다 쾌적한 가로 환경을 만든다. 또한, 안서천 생태 복원 사업을 통해 자연을 가까이에서 즐길 수 있는 생태하천을 조성하여 지역의 친환경적 가치와 활용도를 높인다.

경부고속도로 하부 공간을 활용하여 야간 경관과 안전성을 개선한다. 미디어 아트를 적용해 어두운 하부 공간을 밝히고, 각 대학 진입로에는 대학별 상징성을 반영해 정체성을 강화한다. 또한, CPTED 디자인을 도입해 야간 치안을 강화하고,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며 공간 활용도를 높인다.

PROJECT INFORMATION

LOCATION : chungcheongnam-do, Korea

Architect : Kyung Jae Kim

Design Team : Tae hwan Shin

CLIENT : auri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YEARS : 2024

STATUS : Service completed

PROGRAM : master planning, 3d simulation

 

PROJECT gallery